금리인하 요구권 신청 대상, 서류 정리

    금리인하 요구권 당당하게 신청하고 내 권리를 찾아 보세요.

     

    금리인하 요구권

     

    기준 금리의 오름세가 꺽이지 않습니다. 이로인해 기존에 보유하고 있는 채무가 있다면 매달 내야하는 이자 부담 역시 증가하고 있는 상황 입니다.

     

    이럴 때, 금리인하 요구권 이라는 제도를 적절히 활용 한다면 대상에 해당 하는 경우 이자감면을 통해 가계 부담을 조금이나마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금리인하요구권이란?

     

    현재 부채를 갚아나가고 있는 금융사로 부터 이자를 내려달라고 공식적으로 요청하는것을 의미 합니다. 신청을 하게 되면 해당 금융사는 10일 이내에 결과와 사유를 안내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만약 이를 어길 시 10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 될 수 있습니다. 받아들여진다면 기존의 서류가 아닌 재약정을 통해 낮아진 이자로 상환을 다시 시작하면 됩니다.

     

    누가받을 수 있나?

     

    재산 및 소득의 증가. 신용점수 및 등급 상승이 주 요인 입니다.

     

    예를들면 주임에서 대리로 승진을 하는 것처럼 직급이 올라가면서 연봉이 상승한다면 신청 대상자에 해당 합니다. 이직의 경우 금융사마다 차이가 있지만 전직장과 비교했을 때 20%~30% 인상이 되었다면 자격 요건을 갖추게 됩니다.

     

    개인사업자라면 매출금액을 비롯해 순이익이 증가하는 상황이 되었다면 신청 할 수 있습니다.'

     

    금리인하 요구권 서류

    최근 상황은 어떨까?

     

    아주 긍정적 이라고 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닙니다. 지난 2018년 부터 추세를 보면 총 누적 금액은 1조 8천억을 넘었습니다. 하지만 매년 승인이 되는 비율이 감소하고 있는것은 분명한 사실 입니다.

     

    • 2018년 47%
    • 2019년 42.6%
    • 2020년 37.1%
    • 2021년 28.4%

     

    이처럼 수용률이 낮아지면서 뉴스에 등장하는 내용들은 긍정적이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생각해본다면 아직도 작년 기준으로 30%에 가까운 분들이 구제를 받아 이자를 감면받았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습니다.

     

    내가 그 안에 포함이 될 수 있기도 하니, 자신감을 가지셨으면 합니다.

     

    필요서류는?

     

    은행, 캐피탈, 카드사 각 금융사마다 차이가 존재 할 수 있습니다. 직장인을 기준으로 공통적으로 적용되는것은 본인 확인 신분증, 소득, 재직증빙서류 입니다.

     

    신청 후 부결되면?

     

    금리인하 요구권은 1년에 2회 신청이 가능 합니다. 만약 부결이 되었다면 3개월 이후 재신청이 가능하니 이 부분도 참고하셨으면 합니다. 올크레딧 마이데이터를 신청하게 되면 kcb 점수를 20점 정도 올릴 수 있으니 이 방법을 먼저 사용하시고 금리인하요구권을 신청하는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